• Research Paper

    Long-Term Total Load Forecasting using a Functional Regression Model

    함수회귀 모형을 이용한 중장기 부하곡선 예측

    Haklim Shin, Chang Sik Kim, and Yongok Choi

    신학림, 김창식, 최용옥

    We propose a model for long-term forecasting of the daily total load curve, which represents the hourly total demand in South Korea.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체의 시간별 수요에 상응하는 총부하(Total Load) 곡선을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먼저 일별 총부하 곡선을 추세, 기온, 특수일 등과 같이 …

    + READ MORE
    We propose a model for long-term forecasting of the daily total load curve, which represents the hourly total demand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the daily load curve is assumed to be influenced by both deterministic factors--such as trends, temperature, and special days--and probabilistic factors, which account for time-dependent dynamic variation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deterministic components. The deterministic factors are estimated on an hourly basis, reflecting their time-varying nature. Meanwhile, the dynamic variations in the total load curve, driven by probabilistic factors, are modeled using a functional autoregression estimation methodology. One-year rolling forecasting results demonstrate an average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of 2%, highlighting the robust performance of our proposed methodology.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체의 시간별 수요에 상응하는 총부하(Total Load) 곡선을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먼저 일별 총부하 곡선을 추세, 기온, 특수일 등과 같이 확정적 요소와 확정적 요소로 설명되지 않는 시간대별 동적 변동을 나타내는 확률적인 요소로 구분하고, 이들을 각각 모형화하여 예측한다. 확정적 요소는 각각의 요인별 효과를 시간대별로 추정하되 각 요인의 효과가 시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시간 변동성을 함께 고려하였다. 확률적인 요소를 결정하는 부하곡선의 동적 변동은 함수 주성분 분석(function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PCA)을 활용한 함수자기회귀(functional autoregression, FAR)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으로 365일 동안의 예측실험을 한 결과, 예측된 일별 부하곡선의 평균 절대 백분율 오차(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는 약 2% 내외로 안정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Decomposition Analysi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South Korea’s Provincial and Local Governments: Identifying the Need for Renewable Energy in Gyeonggi Province

    전국 시도 및 시군구의 온실가스 배출 요인분해 분석: 경기도 재생에너지 보급의 필요성 도출

    Seungho Jeon and Han Soo Kim

    전승호, 김한수

    Regions in South Korea exhibit heterogeneity in various aspects such as industrial structure, energy systems, and power demand & supply. At the …

    국내 지역들은 산업구조, 에너지시스템, 전력수급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질적인 한편,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지역의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

    + READ MORE
    Regions in South Korea exhibit heterogeneity in various aspects such as industrial structure, energy systems, and power demand & supply. At the same time, the role of regions in proactive and practic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is increasingly significant. This study applies the Logarithmic Mean Divisia Index (LMDI) technique to analyze the current greenhouse gas emissions at both the provincial and local levels. Based on the results, a representative region was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at the city & county level. Findings indicate that Gyeonggi province contributes the most to the national increase in greenhouse gas emissions. Additionally, among the high-emission provinces, Gyeonggi exhibits distinct patterns of individual effects. The top six high-emission localities within Gyeonggi account for 90% of the emission increase in the province’s 31 localities. It i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se six cities & counties coincides with the operational periods of power plants and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s. In conclusion, firstly, LMDI decomposition analysis highlights Gyeonggi as the most noticeable region among the 17 provinces. Secondly,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trends and the forthcoming implementation of a differential electricity pricing system, Gyeonggi’s need to enhance its power supply from within the province itself is evident. Thirdly, given the substantial presence of RE100 companies in Gyeonggi and it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increase in greenhouse gas emissions, Gyeonggi should intensify efforts to promote renewable energy compared to previous initiatives and other regions.


    국내 지역들은 산업구조, 에너지시스템, 전력수급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질적인 한편,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지역의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2021년 기간 전국 시‧도, 시군구의 온실가스 배출 요인분해 분석을 한다. 17개 시‧도별 온실가스 배출 요인분해 분석을 진행한 뒤,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표 시‧도를 선정하여 해당 지역의 시군(구)를 대상으로 추가 분석한다. 분석 결과, 시‧도 중 경기도는 국가 온실가스 증가에 가장 큰 기여를 함과 동시에 다(多)배출 지역 중에서도 개별 효과가 다르게 작용하고 있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31개 시‧군별 분석 결과, 경기도 내 다(多)배출 상위 6개 시‧군이 경기도 온실가스 배출 증가의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분석결과를 연도별로 살펴봤을 때, 해당 6개 시‧군의 온실가스 배출 증가는 화력발전소와 열병합발전소의 운영 시기와 맞물려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해서 살펴보면, 첫째, 온실가스 배출 요인분해 분석 결과, 17개 시‧도 중 경기도가 가장 특징적인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도별 사회경제의 변화 추이를 감안하고, 또 앞으로 지역별 차등요금제의 시행이 예상되는 바, 경기도는 지역 내 전력공급량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내 위치한 다수의 RE100 기업, 그리고 경기도가 국가 온실가스 배출 증가에 기여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경기도는 재생에너지 보급에 현재보다 그리고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Real Option Analysis for PPA’s Optimal Investment Point: Focusing on the Double Uncertainty of the Electricity Price and Emission Credit Price

    실물옵션을 이용한 PPA 최적 투자 시점 분석: 전력 가격과 배출권 가격의 이중불확실성을 중심으로

    Jaehyung Lee

    이재형

    This paepr assumes a scenario where a company, which is an electricity user subject to the emissions trading scheme, invests the PPA(Power …

    본 논문은 배출권거래제에서 할당대상업체인 기업이 재생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공급사업자와 PPA 계약을 체결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가격과 배출권 가격이 불확실성을 …

    + READ MORE
    This paepr assumes a scenario where a company, which is an electricity user subject to the emissions trading scheme, invests the PPA(Power Purchase Agreement) with a renewable energy supplier. This paper develops a decision-making model for the optimal investment point of PPA using the real option approach,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two state variables which are electricity price and emission credit price. Additionally, this paper derives the optimal investment threshold for a company to make a long-term PPA investment decision with a renewable energy supplier over a 20-year period. The sensitivity analysis of the optimal investment threshold concerning the drift rate and volatility of electricity prices is conducted. The optimal investment threshold for PPA investment ranges from 38.1 to 9.9 KRW/kWh over the period. This is lower by 76.9 to 116.0 KRW/kWh compared to the average electricity price of 115.0 to 125.9 KRW/kWh over the same period. Consequently, investing in PPA is a important strategy in a situation where electricity prices continue to rise. In other words, there is no reason for an electricity user not to invest in PPA when the optimal investment threshold is lower than the actual average electricity price. This implies that, regardless of participation in or compliance with the RE100 campaign, PPA investment is a valid strategy for electricity users who consume a certain amount of electricity.


    본 논문은 배출권거래제에서 할당대상업체인 기업이 재생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공급사업자와 PPA 계약을 체결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가격과 배출권 가격이 불확실성을 고려한 PPA 최적 투자 시점에 대한 의사결정 모형을 실물옵션 방법론으로 분석했다. 또한, 전기사용자인 기업이 재생에너지 공급자와 20년 동안의 장기간 PPA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최적 투자분기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력 가격의 증가율과 변동성에 대한 최적 투자분기점의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력 가격과 배출권 가격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PPA 투자에 대한 최적 투자분기점은 기간에 따라 9.9~38.1원/kWh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 기간, 평균 전력 가격이 115.0~125.9원/kWh인 것과 비교했을 때, PPA 투자에 대한 최적 투자분기점이 76.9~116.0원/kWh 낮은 것이다. 결과적으로 전력 가격이 계속 높아지는 상황에서 PPA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의미한다. 즉, 최적 투자분기점이 실제 전력 평균 가격보다 낮은 상황에서 전기사용자는 PPA에 투자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이는 RE100 캠페인 가입 여부 및 RE100 이행 여부와 상관없이 일정 용량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전기사용자에게 PPA 투자가 유효한 전략임을 의미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The Effec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on the Cost of Debt Capital: Evidence from Korean Manufacturing Firms

    국내 제조기업의 온실가스 배출이 타인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Heeyoung Seo and Jongho Hong

    서희영, 홍종호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Korean manufacturing firms can potentially lower financing costs through carbon abatement investments analyzing the effect of firms’ greenhouse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제조기업의 온실가스 배출이 타인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탈탄소화 시대에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투자가 …

    + READ MOR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Korean manufacturing firms can potentially lower financing costs through carbon abatement investments analyzing the effect of firms’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on the cost of debt capital. We use data on GHG emissions and finances of listed Korean manufacturing firms from 2011 to 2022 and construct an unbalanced panel dataset comprising 2,154 observations. A fixed effects model is employed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bon intensity and the cost of debt capital for SMEs in the high-emitting industries under the Target Management System.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 in 2015, this positive correlation was expanded to high-emitting large companie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hich led to an abrupt economic downturn. Industry-specific findings further suggest that high-emitting companies in semiconductors/display and electronics sectors face increased cost of debt capital as carbon intensity rises. Thes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carbon abatement investment by Korean manufacturing firms can yield financial benefits in the form of lower cost of debt capital.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제조기업의 온실가스 배출이 타인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탈탄소화 시대에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투자가 금융비용 측면에서 잠재적 이익을 가져오는지 여부를 탐색하고자 한다. 국내 상장 제조기업의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과 재무정보를 통해 2,154개의 불균형패널자료를 구축한 후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목표관리제 기간에 다배출 업종 중소기업의 탄소집약도와 타인자본비용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배출권거래제 도입 이후에는 탄소집약도와 타인자본비용 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다배출 대기업으로 확장되어 나타났다. 급격한 경기침체를 가져왔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는 두 변수 간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업종별 분석 결과, 반도체‧디스플레이, 전기전자에서 동일 업종 내 다배출 기업의 탄소집약도 증가 시 타인자본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제조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투자가 비용만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자본비용 절감이라는 유의미한 편익을 가져올 수 있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Assessing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Global Mitigation Efforts and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 Based on a Global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글로벌 CGE 모형을 활용한 글로벌 감축 노력하 국제시장메커니즘의 경제적 영향 분석

    Jongwoo Moon, Yong-Gun Kim, and Jaewan Kim

    문종우, 김용건, 김재완

    It is crucial to decouple economic growth from greenhouse gas emissions in economies to limit the global warming below 2-degree and achieve …

    글로벌 온도 상승을 2도 이하로 제한하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경제성장 및 온실가스 배출 간 디커플링이 중요하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감축 노력의 …

    + READ MORE
    It is crucial to decouple economic growth from greenhouse gas emissions in economies to limit the global warming below 2-degree and achieve the Net Zero.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call for assessing the economic impacts of the global mitigation efforts, especially for developing economies. This study applies a recursive 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and assesses the economic impacts of the global mitigation efforts and the potential of the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 (IMM). Findings suggest that the economic impacts of the global mitigation efforts could be limited compared to their impacts on CO2 emissions reductions. The changes in the real GDP relative to the BAU level differ by region and scenario. The changes in the real GDI are generally more favorable than those in real GDP across most regions, and the IMM brings some benefits in real GDI in all regions. This study acknowledges the potential of the IMM in achieving the global mitigation target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likelihood of more substantial benefits for developed regions. This implies the need for financial supports, technology transfer, and capacity building for developing region to incentivize their participation in the IMM, with a more equitable sharing of the gains from carbon trading.


    글로벌 온도 상승을 2도 이하로 제한하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경제성장 및 온실가스 배출 간 디커플링이 중요하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감축 노력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분석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특히 가파르게 경제가 성장하고, 온실가스 배출량도 증가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축차동태 글로벌 CGE 모형을 활용하여 글로벌 감축 노력하 국제 탄소시장의 경제적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 감축 노력에 따라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정도에 비해 제한적임을 나타낸다. BAU 대비 실질 GDP, GDI 변화는 지역과 시나리오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국제 탄소시장의 도입은 모든 지역의 실질 GDI에 어느정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다만, 개발도상국 지역에 비해 선진국 지역에서 국제탄소시장 도입에 따른 경제적 혜택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보다 공평한 탄소 거래의 이익을 공유할 필요성과 함께 개발도상국의 국제탄소시장 참여를 높이기 위해 재정 지원, 기술 이전, 역량 강화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Paper

    Examining Environmental Efficiency of Power Generation Plants under the Emissions Trading Scheme

    배출권 거래제하에서 화석연료 발전소의 환경 효율성 분석

    Minhye Oh and Dong Hee Suh

    오민혜, 서동희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power generation plants and explore its relationship with the Korea Emissions Trading Scheme …

    본 연구는 화석연료 발전소의 환경 효율성을 평가하고, 한국 배출권 거래제하에서 배출권 가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첫 번째 단계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을 통해 …

    + READ M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power generation plants and explore its relationship with the Korea Emissions Trading Scheme (ETS) using a two-step approach. First, focusing on fossil-fueled power plants, we measure environmental efficiency scor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Second, we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scores using bootstrapped pooled truncated regression,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efficiency and emission permit prices. Our findings reveal that substantial variation in environmental efficiency exists across fossil-fueled power plants during the period from 2011 to 2022, while LNG-fired power plants outperform coal-fired power plants. Moreover, within the ETS framework, the findings show that higher emission permit prices are associated with improvements in environmental efficiency.


    본 연구는 화석연료 발전소의 환경 효율성을 평가하고, 한국 배출권 거래제하에서 배출권 가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첫 번째 단계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을 통해 환경 효율성 점수를 측정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부트스트랩 절단 회귀분석을 통해 효율성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배출권 가격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1년부터 2022년까지의 기간 동안 화석연료 발전소 간 환경 효율성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LNG 발전소가 석탄 발전소보다 더 우수한 환경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출권 거래제하에서 배출권 가격이 상승할수록 발전소들의 환경 효율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