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28,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Paper

30 June 2019. pp. 201~229
Abstract
This paper estimates the effects of generation mix changes in the 7th and 8th Basic Plan for Long-term Power Supply and Demand from two aspects: economic efficiency through electricity price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through CO2 and air pollutants(NOx, SOx, PM) emissions. Particularly, we examined additional generation mix conversion paths that take into account the trade-off between economic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through scenario analysis.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conversion from the 7th plan to the 8th plan should increase the electricity prices in the mid- and long-term, while reducing GHG and air pollutants emissions at the same time. The alternative generation mix that combines 7th and 8th plans shows that there exists a path to mitigate the trade-off between economic and environmental in the long-term. It will be next to impossible to derive a optimal generation mix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core values, such as supply stability, environmental performance, economic efficiency, energy safety and energy security, when establishing the power supply and demand plan. However, by exploring the effects of various generation mix paths and suggesting near-optimal paths, people can best choose their direction after weighhing all the paths when deciding on a forward-looking generation mix in the long term.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고려하는 핵심가치의 범위는 다르다. 전자는 공급안정성과 경제성을, 후자는 여기에 더해서 환경성과 발전 설비의 안전성도 포함하였다. 이는 전원 구성의 전환을 가져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원 구성 변화에 따른 영향을 전기요금측면에서 경제성으로, CO2 배출량과 대기오염물질(NOx, SOx, PM) 배출량측면에서 환경성으로 대표하여 추정하였다. 더하여 전원 구성과 전력수요 전망을 조합 및 절충하는 시나리오들을 설정하여 경제성과 환경성간의 관계를 고려하는 다수의 전원 구성 전환 경로를 검토하였다. 전력계통 모의 전산모형인 M-CORE를 이용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의 전원 구성 전환은 중・장기에 전기요금을 인상시키지만 동시에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저감시킨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혼합하는 전원 구성의 대안은 장기에 전기요금의 인상과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저감량 사이의 상충관계를 완화시킬 수 있다. 전력수급계획을 수립할 때에 공급 안정성, 환경성, 경제성, 효율성, 안전성, 에너지 안보 등의 핵심가치들을 동시에 최적화하는 전원 구성을 도출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핵심가치들에 근접한 다양한 전원 구성 경로를 탐색하여 각각의 미시적・거시적 영향을 제시하는 것은 국민들에게 미래지향적인 전원 구성으로의 전환 방향을 고민할 수 있는 선택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국가법령정보센터, 전기사업법(법률 제14672호) 일부 개정, 검색일 2018. 5. 2, http://www.law.go.kr/%EB%B2%95%EB%A0%B9/%EC%A0%84%EA%B8%B0%EC% 82%AC%EC%97%85%EB%B2%95.
  2. 권승문‧전희찬, “온실가스 감축과 사회적비용을 고려한 전력수급기본계획 연구”, 「환경정책」, 제24권 제4호, 2016, pp. 69~87.
  3. 김광인‧김현숙‧조인구, “에너지 전환정책과 발전의 사회적 비용: 제7차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비교”,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8권 제1호, 2019, pp. 147~176.
  4. 김윤경‧박광수‧조성진, “전력계통 모의를 통한 에너지세제 개편의 전력가격 및 조세수입에 대한 영향 연구”,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4권 제3호, 2015, pp. 584~585.
  5. 산업조직학회, “전통전원 및 재생에너지 균등화발전비용의 전망과 향후과제”, 간담회 발표자료, 2017. 12.
  6. 산업통상자원부, 2017년도(2016년기준) 에너지총조사보고서, 2018.
  7. 산업통상자원부,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5~2029), 2015.
  8. 산업통상자원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 2017.
  9.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원별 균등화비용(LCOE) 추정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출연 정책과제, 2017, pp. 51~56.
  10.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2013년 국가 배출(흡수)계수, 연료별 탄소배출계수(2012~2016년 적용), 검색일 2018. 5. 2, http://www.gir.go.kr.
  11.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2016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2016, pp. 94~99.
  12. 이민기‧김홍배, “발전수단 전환이 우리나라 경제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토계획」, 제53권 제7호, 2018, pp. 67~86.
  13. 조성진‧박찬국, “원자력발전의 경제적‧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적정 전원믹스 연구(3차 년도)”,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5-24, 2015, pp. 183~190.
  14. 한국전력거래소, 전력시장․전력계통 운영정보-전력시장 정보의 ‘2017년 기준용량가격’, ‘2017년 적용 용량가격계수 및 연료전환성과계수’, 검색일 2018. 3. 2, http://www.kpx.or.kr/www/contents.do?key=19.
  15. 한국전력거래소, 전력시장․전력계통 운영정보-전력시장 정보의 ‘2018년 기준용량가격’, 검색일 2018. 3. 2, http://www.kpx.or.kr/www/contents.do?key=19.
  16. 한국전력공사, 전력통계속보 각 호, 검색일 2018. 8. 6, http://home.kepco.co.kr/kepco/KO/ ntcob/list.do?boardCd=BRD_000097&menuCd=FN05030101.
  17.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통계 각 호, 검색일 2018. 8. 6, http://home.kepco.co.kr/kepco/KO/ ntcob/list.do?boardCd=BRD_000097&menuCd=FN050301.
  18.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발전용 에너지 제세부담금 체계 합리적 조정방안 연구, 2018, pp. 42~43.
  19. 환경부,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및 2018∼2020년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 환경부 보도자료, 2018. 7.
  20. 환경부,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전략, 새롭게 만들어 갑니다”, 환경부 보도자료 2018. 6.
  21. IMF, 2014, Getting energy prices right: From principle to practic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4. 10.5089/9781484388570.071
Information
  • Publisher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Publisher(Ko) :자원 · 환경경제연구
  • Journal Title :자원·환경경제연구
  • Journal Title(Ko)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Volume : 28
  • No :2
  • Pages :2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