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28, Issue 4 Preview Page

Research Paper

31 December 2019. pp. 617~643
Abstract
The Demilitarized Zone(DMZ) is a buffer zone set between the southern and northern limit lines established after the 1953 Armistice Agreement. It is an important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where wild species of animals and plants live.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pressure on the DMZ will increase when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s activated in the future. As a result, DMZ development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economic cost-benefit aspects, but also how to assess and conserve the biodiversity of the DMZ, as well as the recovery costs and budget. This paper develope a sustainable DMZ management model under biodiversity uncertainly by using real option approach. The model is also designed to reflect the political risk and regional specificity of the DMZ. Through empirical analysis, I derive the biodiversity threshold (b*) that can secure the DMZ investment economy under uncertainty. In addition, through the sensitivity analysis, I deriv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iodiversity threshold, and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DMZ.
DMZ는 1953년 정전협정 이후 설정된 군사분계선의 남북으로 설정된 완충지대이다. 또한 정전협정 이후 철저히 사람의 간섭으로부터 단절된 지역이고, 67종의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2,716종의 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자연환경보전지역이다. 반면, 향후 남북경협 활성화 시 DMZ에 대한 개발압력은 증가될 수밖에 없기에, DMZ 개발 시 경제적 비용-편익 관점에서의 논의뿐 아니라, DMZ의 생물다양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보존할 것인지와 복구비용 및 예산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은 실물옵션 방법론으로 생물다양성의 가치를 고려한 DMZ 관리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DMZ의 정치적 리스크 및 지역적 특수성을 모형 안에 반영하여 설계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불확실성하에서 DMZ 투자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생물다양성 가치의 임계값(b*)을 도출하였으며, 이때 생물다양성이 주는 편익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민감도 분석을 통해 생물다양성 가치의 임계값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DMZ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ferences
  1. 강희찬‧조용성‧박호정, “선택실험법(CE)을 이용한 서울시민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비시장적 가치 추정”, 「환경정책」, 제23권 제2호, 2015, pp. 21~56.
  2. 구미현‧이동근,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및 환경영향평가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제21권 제1호, 2012, pp. 119~132.
  3. 권오상, 「환경경제학」 제3판, 박영사, 2014.
  4. 김범수‧류종현‧전만식‧강종원‧김경남‧김태동‧유영심,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과 남북강원도 교류협력 추진방향 연구」, 강원연구원, 2018.
  5. 김정택‧이관규‧김준순, “산림생물다양성의 경제적 가치 평가”, 「농업생명과학연구」, 제46권 제4호, 2012, pp. 31~39.
  6. 박은진, “비무장지대 생태계의 보전과 생태관광 활용 방안”, 「서울행정학회」, 2008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8, pp. 861~876.
  7. 박은진‧여인애, “한반도 비무장지대 일원 정책과 연구의 변화 및 시사점”, 「환경정책」, 제26권 제2호, 2018, pp. 19~45.
  8. 박창연‧이충기, “DMZ 관광의 체험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30권 제7호, 2018, pp. 57~74.
  9. 박호정, 「실물옵션과 경제성 평가」, 옵션리얼, 2017.
  10. 박호정‧김준순‧김현희, “남북경제협력에 따른 개발이익 경매와 DMZ 보전기금 확보”,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8권 제1호, 2019, pp. 39~59.
  11. 박호정‧장희선, “수산자원 ITQ 하에서의 어업퇴출모형”,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8권 제1호, 2009, pp. 1~24.
  12. 박호정‧정병관, “나고야의정서 하에서 생물유전자원 이용의 최적계약 연구”,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6권 제1호, 2017, pp. 85~101.
  13. 안영면‧주현식, “DMZ의 관광 이미지와 매력속성에 따른 관광자원화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12권 제1호, 2000, pp. 125~137.
  14. 오일찬‧권영한‧노백호,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영향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15. 이충기, “2 단계 CVM 접근방법을 통한 생태관광자원의 가치평가”, 「호텔경영학연구」, 제15권 제3호, 2006, pp. 175~187.
  16. 이충기, “CVM을 이용한 DMZ 생태관광자원의 가치평가: 국제간 비교”, 「관광레저연구」, 제17권 제4호, 2005, pp. 65~81.
  17. 임업연구원, 「비무장지대의 산림생태계 현황」, 임업연구원, 2000.
  18. 전건홍‧윤여창,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보전가치 평가 I 철원지역」, 산림임업연구원,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산림생태계 조사 종합보고서, 2000.
  19. 전성우‧서재철‧박준서‧추장민, 「DMZ 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연구」, 환경부, 2009.
  20. 조봉현, “新남북경협의 투자비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경제학회」, 2019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019, pp. 1~17.
  21. 최성록‧박은진, “DMZ 일원 주요 자원의 보전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연구: 응답자의 지리적 이질성에 대한 검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9권 제2호, 2010, pp. 303~342.
  22. 최성록‧박은진‧박성훈, 「DMZ 일원 주요 자원의 보전가치 추정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0, 1~216.
  23. 홍원경‧장희선‧박호정, “이익공유를 고려한 유전자원 이용 사업 투자 의사결정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8권 제1호, 2019, pp. 95~120.
  24. Abdallah, S. B. and P. Lasserre, “A Real Option Approach to the Protection of a Habitat Dependent Endangered Species,”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Vol. 34, No. 3, 2012, pp. 295~318.10.1016/j.reseneeco.2011.11.003
  25. Arrow, K. J. and A. C. Fisher, “Environmental Preservation, Uncertainty, and Irreversibility,”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88, No. 2, 1974, pp. 312~319.10.2307/1883074
  26. Bulte, E., D. P. van Soest, G. C. van Kooten, and R. A. Schipper, “Forest Conservation in Costa Rica when Nonuse Benefits are Uncertain but Rising,”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84, No. 1, 2002, pp. 150~160.10.1111/1467-8276.00249
  27. Clark, E., “Valuing Political Risk,”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Vol. 16, No. 3, 1997, pp. 477~490.10.1016/S0261-5606(97)00008-9
  28. Clarke, H. R. and W. J. Reed, “Land Development and Wilderness Conservation Policies Under Uncertainty: A Synthesis. Natural Resource Modeling,” Vol. 4, No. 1, 1990, pp. 11~37.10.1111/j.1939-7445.1990.tb00130.x
  29. Clarke, H. R. and W. J. Reed, “The Tree-Cutting Problem in a Stochastic Environment: The Case of Age-Dependent Growth,”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Vol. 13, No. 4, 1989, pp. 569~595.10.1016/0165-1889(89)90004-3
  30. Conrad, J. M., “On the Option Value of Old-Growth Forest,” Ecological Economics, Vol. 22, No. 2, 1997, pp. 97~102.10.1016/S0921-8009(96)00557-5
  31. Conrad, J. M., “Wilderness: Options to Preserve, Extract, or Develop,”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Vol. 22, No. 3, 2000, pp. 205~219.10.1016/S0928-7655(00)00031-2
  32. Di Corato, L., M. Moretto, and S. Vergalli, “Land Conversion Pace Under Uncertainty and Irreversibility: Too Fast or Too Slow?,” Journal of Economics, Vol. 110, No. 1, 2013, pp. 45~82.10.1007/s00712-013-0348-2
  33. Di Corato, L., M. Moretto, and S. Vergalli, “The Effects of Uncertain Forest Conservation Benefits on Long-Run Deforestation in the Brazilian Amaz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Economics, Vol. 23, No. 4, 2018, pp. 413~433.10.1017/S1355770X18000189
  34. Kassar, I. and P. Lasserre, “Species Preservation and Biodiversity Value: A Real Options Approach,”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48, No. 2, 2004, pp. 857~879.10.1016/j.jeem.2003.11.005
  35. Kim, H. H., “A Principal-Agent Study on DMZ Conservation Fund,”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Korea University, 2019.
  36. Kremer, M. K. and C. Morcom, “Elephants,”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90, No. 1, 2000, pp. 212~234.10.1257/aer.90.1.212
  37. Leroux, A. D. and S. M. Whitten, “Optimal Investment in Ecological Rehabilitation Under Climate Change,” Ecological Economics, Vol. 107, 2014, pp. 133~144.10.1016/j.ecolecon.2014.07.012
  38. Leroux, A. D., V. L. Martin, and T. Goeschl, “Optimal Conservation, Extinction Debt, and the Augmented Quasi-Option Value,”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58, No. 1, 2009, pp. 43~57.10.1016/j.jeem.2008.10.002
  39. MacArthur, R. H., and E. O. Wilson,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10.1515/9781400881376
  40. Nijkamp, P., G. Vindigni, and P. ALD. Nunes, “Economic Valuation of Biodiversity: A Comparative Study,” Ecological economics, Vol. 67, No. 2, 2008, pp. 217~231.10.1016/j.ecolecon.2008.03.003
  41. Park, H. J., “Real Option Game for Fishery Exit under Individual Transferable Quota System with Fish Price Uncertainty,”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51, No. 1, 2010, pp. 79~98.
  42. TEEB,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in Business and Enterprise, TEEB, 2012.
  43. Weitzman, M. L., “The Noah's Ark Problem,” Econometrica, Vol. 66, No. 6, 1998, pp. 1279~1298.10.2307/2999617
Information
  • Publisher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Publisher(Ko) :자원 · 환경경제연구
  • Journal Title :자원·환경경제연구
  • Journal Title(Ko)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Volume : 28
  • No :4
  • Pages :617~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