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30, Issue 1

Research Paper

31 March 2021. pp. 1-26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economic values of green spaces for non-Capital areas that have been rarely studied. Choice experiments were applied to two dissimilar but adjoining areas: The City of Jeonju and Wanju County. Split-sample surveys allowed to compare between apartment dwellers and single- or multi-family house dwellers, and across differing types of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 results, significant and substantial preferences might prevail not only for large cities, but also for agricultural areas. The mean willingness-to-pay (WTP) values of apartment dwellers for the view of a river/lake or mountain were generally smaller than those of Seoul, while the overall access values showed the opposite relationships. House dwellers in Jeonju showed substantially larger economic values for green spaces than those of the counterparts in Seoul, except for the access value of a river/lake. The findings grant follow-up studies investigating the reasons for the anomalous preferences particularly in Jeonju and identifying new management policies for non-Capital areas.
본 논문의 목적은 그 동안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던 비수도권 지역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녹지공간 경제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주거 공간의 특징이 명확하게 대비되는 비수도권 대도시와 농촌지역의 주민들이 가지는 어메니티 가치를 주택 유형별, 녹지 유형별로 비교하기 위해서 선택실험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전주시와 같은 비수도권 대도시뿐만 아니라 완주군과 같은 농촌지역에서도 녹지공간에 대한 명확한 선호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아파트 거주자들의 경우 하천과 산림을 중심으로 조망의 가치는 서울시의 경우보다 작았지만, 접근성의 가치는 유사하거나 더 크게 추정되었다. 단독주택 거주자들의 경우 하천에 대한 접근성을 제외하고는 서울시보다 전주시가 월등하게 높은 어메니티 가치를 가지고 있어서, 녹지관리 정책에 있어서 그 원인과 대안의 제시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완주군과 같은 농촌지역에서도 녹지공간에 대한 접근성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가 있어서 체계적인 관리정책이 요구된다.
References
  1. 국가통계포털, 인구총조사,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ubCont, 2015.
  2. 김동준, “논문: 도시녹지환경이 주택가치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산림경제연구」, 제10권 제1호, 2002, pp. 8~19.
  3. 김황중 ‧ 최형석, “경관조망의 유형과 조망차폐율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제22권 제1호, 2012, pp. 109~125.
  4. 배수진, “주택가격에 내재한 녹지의 가격측정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0.
  5. 변필성 ‧ 차은혜, “상호보완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지방중소도시 발전방향”, 국토연구원, 2016.
  6. 심재현, “주거환경과 어메니티: 아파트의 주거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제7권 제1호, 2009, pp. 65~83.
  7. 엄영숙 ‧ 최성록 ‧ 김승규 ‧ 김진옥, “공원일몰제 시행과 도시녹지 서비스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선호측정: 아파트 실거래 기반 헤도닉가격접근법을 적용하여”,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8권 제1호, 2019, pp. 61~93.
  8. 이광국 ‧ 박철우, “지방중소도시 거주자의 주택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17권 제2호, 2004, pp. 27~45.
  9. 이진순 ‧ 김종훈, “아파트 환경속성이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조망품질과 공원접근성의 컨조인트 분석”, 「마케팅관리연구」, 제19권 제2호, 2014, pp. 91~109.
  10. 정혜경 ‧ 윤성도 ‧ 김태균 ‧ 김승규, “서울 도시녹지 가치 추정: 위계선형모형을 적용한 주택특성가격 분석”, 「환경정책」, 제28권 제3호, 2020, pp. 213~242.
  11. 최성록 ‧ 엄영숙, “선택실험을 이용한 서울 도시녹지 어메니티의 경제가치 평가”,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7권 제1호, 2018, pp. 105~138.10.15301/jepa.2020.28.3.213
  12. 통계청, 인구총조사, http://www.census.go.kr/, 2010.
  13.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 행정자치부, 2018.
  14. 환경부, “도시녹지의 생태적 기능강화방안 마련 연구”, 2012.
  15. 황규성 ‧ 이찬호, “컨조인트 분석기법의 속성분류에 따른 공동주택 옥외공간의 선호도 차이분석”, 「부동산학보」, 제52호, 2013, pp. 298~312.
  16. Choi, A. S., “The impact of arbitrary constraints over the payment parameter on WTP: a case of a normally distributed random parameter,”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Policy, Vol. 9, No. 2, 2020, pp. 125~139.10.1080/21606544.2019.1614482
  17. Choi, A. S., and K. S. Fielding, “Environmental attitudes as WTP predictors: a case study involving endangered species,” Ecological Economics, Vol. 89, 2013, pp. 24~32.10.1016/j.ecolecon.2013.01.027
  18. Kotchen, M. J., and S. M. Powers, “Explaining the appearance and success of voter referenda for open-space conserv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52, No. 1, 2006, pp. 373~390.10.1016/j.jeem.2006.02.003
  19. MA,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Systhesis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Island Press, Washington DC, 2005.
  20. McFadden, D., and K. Train, “Mixed MNL models for discrete response,”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Vol. 15, 2000, pp. 447~470.10.1002/1099-1255(200009/10)15:5<447::AID-JAE570>3.0.CO;2-1
  21. Sillano, M., and J. de Dios Ortúzar, “Willingness-to-Pay Estimation with Mixed Logit Models: Some New Evidence,”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37, No. 3, 2005, pp. 525~550.10.1068/a36137
  22. Train, K., Discrete Choice Methods with Simul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2003.10.1017/CBO9780511753930
Information
  • Publisher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Publisher(Ko) :자원 · 환경경제연구
  • Journal Title :자원·환경경제연구
  • Journal Title(Ko)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Volume : 30
  • No :1
  • Pages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