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28,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Paper

30 June 2019. pp. 277~306
Abstract
Mackerel is one of the most widely consumed aquatic products in Korea. Concerns about the depletion of stocks have also arisen as the catch has decrease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mackerel stock and derive the optimal level of catch in Korea. We apply a generalized maximum entropy econometric method to estimate the mackerel growth function, which does not require the steady state assumption. We incorporate a bootstrapping approach to derive the significance levels of parameter estimates. We found that the average ratio of catch to the estimated total stock was less than 30% before the 1990s but exceeded 40% in the 1990s. After 2000, it dropped back to about 36%. This finding indicates that mackerel may have been over-fished in the 1990s, but the government regulations introduced in the 2000s alleviated over-fishing problems. Nevertheless, our dynamic optimization analysis suggests that the total allowable catch may need to be carefully controlled to achieve socially optimal management of resources.
고등어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어종 중 하나로 최근 기후변화, 해양 생태계 악화, 과잉 어획 등으로 인해 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등어의 최적어획량, 자원량, 어획노력량 등을 최대 엔트로피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여 최대 엔트로피 추정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어 자원량은 1990년대 중반 최대로 증가하였다가 2000년대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원량 대비 어획량을 비교하면 1990년대 이전에는 28.5%, 1990년대 약 43.1%, 2000년 이후 36.3%로 추정되었다. 이는 1990년대 남획에 가까운 어획으로 고등어 자원량이 감소하였다가 정부의 수산 자원 관리 정책으로 인해 차츰 자원이 회복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가 추정한 사회적 최적 자원량이나 최대지속가능어획량과 비교하면 현재 자원 스톡은 이 두 기준치를 달성하지 못해 현재보다 더 강화된 어획량 관리제도가 필요함이 확인된다.
References
  1. 국립수산과학원, 「2015년 자원회복 대상종에 대한 자원상태 및 권고안」, 해양수산부, 2016.
  2. 국립수산과학원, 「한국 연근해 2007년도 TAC 대상어종에 대한 어획동향 분석 및 자원상태 평가」, 2006.
  3.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조사연보』, 각 연도.
  4.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FSIS), “[FTA 시대 수산물 경쟁력⑥] 고등어 경쟁력 향상 방안”, 2007.
  5.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수행 총괄지침」, 2018.04.17.
  6. 김기철‧권오상, “한국 연근해 멸치자원량 추정-Maximum Entropy 기법의 응용”, 「자원‧환경경제연구」, 제9권 제2호, 2000, pp. 285~309.
  7. 김도훈, “총허용어획량 (TAC) 어업관리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고등어 TAC 어업관리정책을 사례로”, 「한국정책학회보」, 제13권 제2호, 2004, pp. 91~116.
  8. 김상겸, “사회적할인율 조정이 공공투자사업의 경제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환경투자사업을 중심으로”, 「환경정책연구」, 제12권, 제4호, 2013, pp. 71~92.
  9. 남종오, “해밀토니안기법을 이용한대형선망어업의 고등어․ 전갱이최적어획량 결정”, 「해양정책연구」, 제26권 제2호, 2011, pp. 21~46.
  10. 부경대학교, 국립수산진흥원, 「EEZ 체제하에서의 TAC 어업자원 관리기법 및 공동이용자원에 대한 쿼터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해양수산부, 2000.
  11.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어업경영조사』, 각 연도.
  12. 수산정보포털(www.fips.go.kr: 접속일자: 2018.11.22.)
  13. 이지웅‧김성균‧김길환,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통한 우리나라 적정 사회적 할인율 추정”, 「에너지경제연구」, 제15권, 제1호, 2016, pp. 207~237.
  14. 조정희‧이정삼‧남종오,「생물경제모형을 이용한 수산물 최적생산량 추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2009.
  15. 조정희‧홍성걸‧오순택‧정명생‧이상민, 「생물경제모델을 이용한 고등어자원의 최적어획량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보고서, 2001.
  16. 최종두‧조정희, “협조적 게임이론을 이용한 국가 간 수산자원관리에 관한 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제30권 제2호, 2008, pp. 173~180.
  17. 최종우‧황윤재, 『식품수급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18. 통계청, 『어업생산동향조사』, 각 연도. (http://kosis.kr/)
  19. 표희동, “우리나라 멸치자원량 추정을 위한 잉여생산모델과 최대엔트로피모델의 비교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2006, pp. 19~30.
  20.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 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 5판)」, 2008.
  21. 한국해양학회, 『해양과학용어사전』, 서울: 아카데미서적, 2005.
  2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경제학적 분석(II)」, 2011.
  23. 해양수산부, 「2008년도 총허용어획량(TAC)제도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2007.
  24. 해양수산부, 「2016년도 총허용어획량의 설정 및 관리에 관한 시행계획」, 2016.
  25. 해양수산부, 『해양수산통계연보』, 각 연도.
  26. Bell, F. W., “Technological externalities and common-property resources: An empirical study of the US northern lobster fisher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80, No. 1, 1972, pp. 148~158.10.1086/259867
  27. Berg, C. W., H. Madsen, U. Thygesen, and N. Anders, Statistical aspects of fish stock assessment,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2013.
  28. Bliemel, F. “Theil's forecast accuracy coefficient: a clarific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0, No. 4, 1973, pp. 444~446.10.1177/002224377301000413
  29. Bonfil, R., “Fishery stock assessment models and their application to sharks,” in J. A. Musick and R. Bonfil, eds., Elasmobranch Fisheries Management Techniques, pp. 205~240,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474, 2005.
  30. Carpenter, J. and J. Bithell,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s: when, which, what? A practical guide for medical statisticians,” Statistics in Medicine, Vol. 19, No. 9, 2000, pp. 1141~1164.10.1002/(SICI)1097-0258(20000515)19:9<1141::AID-SIM479>3.0.CO;2-F
  31. Clark, C. W., Mathematical Bioeconomics: The Optimal Management of Renewable Resources, 2nd ed., John Wiley & Sons, 1990.
  32. Conrad, J. M., Resource Economics,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10.1017/CBO9780511781087
  33. Efron, B., and R. J. Tibshirani, An introduction to the bootstrap, CRC press, 1994.10.1007/978-1-4899-4541-9
  34. Fishbase(www.fishbase.org: 접속일자: 2019.03.12.)
  35. Golan, Amos, George Judge, and Douglas Miller., Maximum Entropy Econometrics, John Wiley & Sons Ltd, 1996a.
  36. Golan, Amos, George Judge, and Larry Karp., “A maximum entropy approach to estimation and inference in dynamic models or counting fish in the sea using maximum entropy,”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Vol. 20, No. 4, 1996b, pp. 559~582.10.1016/0165-1889(95)00864-0
  37. Gordon, H. S., “The economic theory of a common-property resource: the fishery,”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62, No. 2, 1954, pp. 124~142.10.1086/257497
  38. Hall, P., J. L. Horowitz, and B. Y. Jing, “On blocking rules for the bootstrap with dependent data,” Biometrika, Vol. 82, No. 3, 1995, pp. 561~574.10.1093/biomet/82.3.561
  39. Hyndman, R. J., and A. B. Koehler, “Another look at measures of forecast accu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Vol. 22, No. 4, 2006, pp. 679~688.10.1016/j.ijforecast.2006.03.001
  40. Kishida, T., T. Wada, S. Pascoe, and D. Greboval, “A relationship between fishing effort and fishing capacity in fluctuating fish stocks,” in Pascoe, S and Greboval, D.F, eds., Measuring Capacity in Fisheries, pp. 305~314,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445, 2003.
  41. Maunder, M. N. and K. R. Piner, “Contemporary Fisheris Stock Assessment: Many Issues Still Remain,” 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Vol. 72, No. 1, 2015, pp. 7~18.10.1093/icesjms/fsu015
  42. Pukelsheim, Friedrich, “The three sigma rule,” The American Statistician, Vol. 48, No. 2, 1994, pp. 88~91.10.1080/00031305.1994.10476030
  43. Puthy, E. M., and D. M. Kristofersson, Marine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potential for mackerel fisheries of Cambodia. Reykjavik: The United Nations University, 2007.
  44. Schaefer, Milner B, “Some aspects of the dynamics of populations important to the management of the commercial marine fisheries,” Inter-American Tropical Tuna Commission Bulletin, Vol. 1, No. 2, 1954, pp. 23~56.
  45. Secretariat, I.O.T.C. “Assessment of Indian Ocean narrow-barred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commerson) using data poor catch-based methods,” IOTC-2015-WPNT05-23, 2015.
  46. Secretariat, I.O.T.C. “Assessment of Indian Ocean narrow-barred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commerson) using data poor catch-based methods,” IOTC-2016-WPNT06-18, 2016.
  47. Tendaupenyu, I. H., and H. D. Pyo, “A Comparative Analysis of Maximum Entropy and Analytical Models for Assessing Kapenta (Limnothrissa miodon) Stock in Lake Kariba,”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ol. 26, No. 4, 2017, pp. 613~639.
  48. Theil, H. Applied Economic Forecasts. Amsterdam:North Holland, 1966.
Information
  • Publisher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Publisher(Ko) :자원 · 환경경제연구
  • Journal Title :자원·환경경제연구
  • Journal Title(Ko)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Volume : 28
  • No :2
  • Pages :277~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