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28,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Paper

31 March 2019. pp. 61~93
Abstract
This study is to apply Hedonic Price Method in analyzing residents’ preferences for three types of urban green space (UGS, rivers, urban parks, and forests) near the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Based on hedonic price function estimation results, residents in Seoul preferred for the urban amenity that was provided by the view and accessibility (in terms of both within 10 minutes and distance) of rivers and urban parks near the apartment complexes, but not forests. The annual benefits calculated using the shadow prices are about 550~600 thousand won for the urban park views and about 800 thousand won for the accessibility, which is 2-3 times higher than river views and accessibility. On the other hand, forest views and accessibility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partment prices, except the view of Bukhan mountain for the residents of Gangbuk area.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Seoul residents' preferences for urban parks would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urban park sunset program that will be initiated from July 2020.
본 연구는 2020년 7월부터 시행될 ‘공원일몰제’ 시행에 앞서 주민들의 도시녹지공간에 대한 선호를 분석하기 위해, 2015년 동안 서울시에서 거래된 아파트 117,918건의 실거래자료를 중심으로 다양한 GIS정보를 활용하여 단지 인근 강이나 하천, 산림 그리고 도시공원의 3가지 유형의 도시녹지공간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조망과 접근성으로 대표하여 헤도닉가격함수를 추정한 뒤 잠재가격과 주민들이 향유하는 연간편익을 측정하였다. 서울시민들은 한강을 포함한 아파트 단지 도시녹지공간들에 대해서 조망 및 10분 이내 접근성이나 거리-이용 접근성의 관점에서 모두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어메니티로 선호하고 있었다. 나아가서 강이나 하천 조망가능성(아파트 가격의 0.7-2.5%)과 접근가능성(2.3%)에 비해 도시공원 조망가능성(1.7-3.3%)이나 접근가능성(3.9%) 모두 잠재가격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가격에 기초한 연간편익은 도시공원의 조망가능성에 약 55-60만원 그리고 10분 이내 접근가능성에 대해 80만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나 강이나 하천 조망이나 접근가능성에 비해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산림녹지 유형에 대해서는 강북지역 거주자들의 북한산 조망을 제외하고는 아파트 인근 산림 조망이나 접근성은 아파트 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국토교통부. 2016.
  2.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토지 및 건축물 대장.
  3. 국가공간정보포털, http://market.nsdi.go.kr/goods/pdstrn/pdstrnMainList.do, http://market.nsdi. go.kr/goods/detail.do?gno=12771
  4. 국토정보플랫폼,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
  5. 국가공간정보포털, http://openapi.nsdi.go.kr/nsdi/index.do?afterLogin=Y
  6. 국토교통 통계누리, https://stat.molit.go.kr/portal/main/portalMain.do
  7. 국회입법처, “미집행 공원현황과 정책과제”, 「이슈와 논점」, 1299호, 2017.
  8. 김동준, “도시녹지환경이 주택가치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산림경제연구」, 제10권 제1호, 2002, pp. 8~19.
  9. 김태윤‧이창무‧조주현‧박한, “경관 특성 차이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학 연구」, 제13권 제3호, 2007, pp. 169~186.
  10. 네이버지도, https://map.naver.com/, 2016.
  11. 다음부동산, http://realestate.daum.net/?nil_profile=mini&nil_src=realestate, 2016
  12. 매일경제, 『부동산 물세권 숲세권이 뜬다』, 매일경제 2017.02.17.
  13. 매일경제, 『미세먼지 잡는 ‘공세권 아파트’ 눈길』, 매일경제 2018.3.27.
  14. 박인선‧엄영숙‧엄수원, “아파트 단지 내 녹지면적지수 산정 및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분석: 전주시를 사례로”, 「지역경제연구」, 제34권, 2016, pp. 113~129.
  15. 배수진, “주택가격에 내재한 녹지의 가격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0.
  16. 서울시, 서울통계, http://stat.seoul.go.kr/jsp3/index.jsp, 2016
  17. 서울시 정책지도, http://map.seoul.go.kr:9978/spm/gly/policy/view.do?POLICY_NO=115
  18. 서울시 도시계획포털, http://urban.seoul.go.kr/4DUPIS/sub7/sub7_7_4.js
  19. 서울시, 서울부동산 정보광장, http://land.seoul.go.kr, 2018.
  20. 신상영‧김민희‧목정훈, “서울숲 조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제7권 제4호, 2006, pp. 1~7.
  21. 양성돈‧최내영, “한강시민공원이 주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8권 제3호, 2003, pp. 270~285
  22. 윤성훈‧한성원, “서울아파트 매매가격의 거품가능성”, 「한국보험연구원(KIRI) 포커스」, 2018.
  23. 윤청중‧유완, “도시경관의 조망특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36권 제7호, 2001, pp. 67~83
  24. 이진순‧김종훈‧손양훈, “환경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도신도시에서의 조망품질 및 공원 접근성을 중심으로”, 「부동산연구」, 제23권 제3호, 2013, pp. 99~121.
  25. 임영식‧전영섭, “헤도닉가격기법을 이용한 대기질 개선시의 편익추정”, 「자원경제학회지」, 제3권 제1호, 1993, pp. 81~105.
  26. 장남정, 『미집행공원 실효대비 서울시 대응경험과 향후과제』, 한국환경경제학회 정책로론회, 2018.11.
  27. 최성록, 『생태계서비스 경제사회가치평가 기법개발』, 국립생태원, 2017.
  28. 최성록‧엄영숙. “선택실험을 이용한 도시녹지 어메니티의 경제적 가치평가”,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7권 제1호, 2018, pp. 105~138.
  29. 환경운동연합, 『2020년 사라지는 우리 동네 공원 찾기』, 2018.
  30. 황형기‧이창무‧김미경, “한강조망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제16권 제2호, 2008, pp. 51~72.
  31. Anselin, L and A. K. Bera, “Spatial Dependence in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an Introduction to Spatial Econometrics,” eds by A. Uillah and D. Giles, Handbook of Applied Economic Statistics, 1998.9605095
  32. Bockstael, N. and K. E. McConnell, Environmental and Resource Valuation with Revealed Preferences, Springer, 2009.
  33. Brander, L. M. and M. J. Koetse, “The value of urban open space: Meta-analyses of contingent valuation and hedonic pricing result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92, No.10, 2011, pp. 2763~2773.10.1016/j.jenvman.2011.06.019 21763064
  34. Cavailhès, J. et al., “GIS-Based Hedonic Pricing of Landscape,”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Vol. 44, No. 4, 2009, pp. 571~590.10.1007/s10640-009-9302-8
  35. Costnaza, R, et al.,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Vol. 387, 1997, pp. 253~260.10.1038/387253a0
  36. Cropper, M. L., L. B, Deck, and K. E. McConnell, “On the Choice of Functional Form for hedonic price function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75, 1988, pp. 225~232.10.2307/2109427
  37. Czembrowski, P. and J. Kronenberg, “Hedonic pricing and different urban green space types and sizes: Insights into the discussion on valuing ecosystem servi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146, 2016, pp. 11~19.10.1016/j.landurbplan.2015.10.005
  38. Durbinm, R., “Spatial Autocrrelation and Neighborhood Quality,”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Vol. 22, 1992, pp. 433~452.10.1016/0166-0462(92)90038-3
  39. Freeman, A. M.,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Values: Theory and Method, Resource for the Future(Washington D. C.), 2003.
  40. Haab, T. C. and K. E. McConnell, Valuing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s, Edward Elgar, 2003.
  41. Kong, F., H. Yin and N. Nakagoshi, “Using GIS and landscape metrics in the hedonic price modeling of the amenity value of urban green space: A case study in Jinan City,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79, 2007, pp.240-252.10.1016/j.landurbplan.2006.02.013
  42. MA(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Island Press. Washington, D.C, 2005.
  43. Mackinnon, J., H. White, and R. Davidson, “Test for Model Specification in the Presence of Alternative Hypothesis: Some Further Results,” Journal of Econometrics, Vol. 21, 1983, pp. 53~70.10.1016/0304-4076(83)90119-7
  44. McConnell, V. and M. Walls, “The Value of open space: Evidence from studies of nonmarket benefits,” Report from Resources for the Future, 2005.
  45. Palmquist, R. B., “Hedonic Models,” in J. B. Braden and C. D. Kolstad(eds) Kolstad(eds) Measuring the demand for environmental quality, North-Holland, 1991, pp.77~120
  46. Palmquist, R. B., “Valuing Localized Externalities,” Journal of Urban Economics, Vol. 31, 1992, pp.59~68.10.1016/0094-1190(92)90032-G
  47. Rosen, S., “Hedonic Prices and implicit markets: product differentiation in pure competi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82, No. 1, 1974, pp.34~55.10.1086/260169
  48. Sander, H. A. and R. G. Haight,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cultural ecosystem services in an urbanizing area using hedonic pric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113, No. 30, 2012, pp.194~205.
  49. Tyrvainen, L. and A, Miettinen, “Property Prices and Urban Forest Amen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39, 2000, pp. 205~223.10.1006/jeem.1999.1097
  50. UKNEA, “The UK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Technical Report,” Cambridge, UNEP- WCMC, 2011.
Information
  • Publisher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Publisher(Ko) :자원 · 환경경제연구
  • Journal Title :자원·환경경제연구
  • Journal Title(Ko)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Volume : 28
  • No :1
  • Pages :61~93